안녕하세요~ans입니다.
ans의 좌충우돌 귀촌생활적응기!! 응원해주세요~♡
Ans life adaptation story to the back-to-back village!!
Please cheer for us! ♡
[귀촌 정보] 시골살이 현실기 : 생활비 총정리
ans의 좌충우돌 귀촌생활적응기!! 응원해주세요~♡
Ans life adaptation story to the back-to-back village!!
Please cheer for us! ♡
[귀촌 정보] 시골살이 현실기 : 생활비 총정리
정말 덜 들까?

도시를 떠나 시골로 가면 생활비가 확 줄어들 거라고 기대하는 분들이 많아요.
사실 저도 그랬거든요.
'차라리 귀촌해서 집값도 줄이고,
'차라리 귀촌해서 집값도 줄이고,
소비도 덜 하고, 자연 속에서 단출하게 살면
생활비도 쑥 줄겠지!'라고 생각했는데요.
막상 살아보니 꼭 그렇지만은 않더라고요.
물론 귀촌·귀농을 하는 지역이나 개인의 생활 패턴에 따라 많이 달라질 수 있지만,
오늘은 제가 실제로 시골살이를 하면서
한 달 생활비가 얼마나 드는지 항목별로 솔직하고 자세하게 풀어보려고 해요.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귀촌 전후의 제 상황을 간단히 말씀드릴게요.
✅ 귀촌 전후 나의 상황
40대 중반 중년 여성
임신과 출산으로 경력 단절
당시 만 5세 자녀 1명
따로 거주하지만 생활비를 지원하는 노모 있음
정기적인 일정 수입 없음
프리랜서 일과 부업, 재테크 등으로 연수입을
따로 거주하지만 생활비를 지원하는 노모 있음
정기적인 일정 수입 없음
프리랜서 일과 부업, 재테크 등으로 연수입을
월로 환산하면 80만~150만 원 정도
월 100만 원 임대료를 받는 상가를 보유했으나
월 100만 원 임대료를 받는 상가를 보유했으나
21년 8월부터 코로나 여파로 1년 넘게 임대료 못받음
(현재는 공실)
귀촌 전 3억 초반의 수도권 빌라를 보유
귀촌 전 3억 초반의 수도권 빌라를 보유
현재 매매 대신 2억에 전세로 돌리고 나옴
(현재는 가격이 하락)
수도권에 투자 목적으로 매입한 5억대 아파트는
수도권에 투자 목적으로 매입한 5억대 아파트는
귀촌할 때 매도해 대출 상환 후 현 거주지에 구축 아파트 매입
현금 자산은 추후 돌려줄 전세금 2억을 제외하면,
현금 자산은 추후 돌려줄 전세금 2억을 제외하면,
저축과 주식 등으로 약 3억원 보유 중이나
이 중 2억 원은 후에 농지 매입 또는 건축을 위한 자금으로 별도 투자 중
실제 운영 가능한 자금은 약 7천~1억 원 정도
실제 운영 가능한 자금은 약 7천~1억 원 정도
귀촌 첫해 1년간은 수입 없이 지출만 있었음
자산은 있으나 현금 유동성은 좋지 않은 편
자산은 있으나 현금 유동성은 좋지 않은 편

① 주거비 – 싸긴 한데, 신축은 귀한 보석
도시 vs 시골 아파트 비교부터 해볼까요?
수도권 신축 전세: 최소 3억 이상
시골 소도시 구축 아파트 전세: 약 1억 전후
제가 사는 지역은 지난 4년간 전세 매물이 거의 없었어요.
대신 오래된 집들의 월세나 사글세(연세)가 많았죠.
시골 전원주택은 저렴한 경우 1억 미만부터 시작하지만
연식이 오래된 경우가 많아 관리비가 비싸고
단열이 잘 안 되는 집도 많아요.
집값이 싸더라도 보일러, 창문 교체, 리모델링 비용은 별도로 들죠.
관리비는 평균 7~12만 원 정도로 도시와 큰 차이 없어요.
관리비는 평균 7~12만 원 정도로 도시와 큰 차이 없어요.
제가 있는 지역에 최근 35층짜리 주상복합만이
1년 미만의 신축 건물이에요
매매가가 4억 초반대였어요.
하지만 저는 지방 소도시에 4억을 투자하는게
합리적이지 않다고 판단해 구축 아파트를 매입했어요.
✅ 한 줄 요약:
싸지만 상태는 '복불복', 임대보다 매매가 유리한 경우도 많아요.
내가 사용한 비용
매입한 주택: 부동산 매입가+취등록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 = 약 2억 2,000만 원
귀촌인 임대주택: 보증금 300만 원 + 월세 8만 원×12개월 = 396만 원
(임대주택 이야기는 따로 포스팅할 예정이에요.)
② 공과금 – 수도료는 낮고, 난방비는 의외로 비쌈!
전기요금: 도시와 큰 차이 없음
수도요금: 마을상수도 사용 시 매우 저렴 (월 5천~1만 원대)
가스/난방비: LPG 또는 등유 사용
→ 겨울엔 월 20만~40만 원 예상
인터넷/TV: 광랜 설치가 어려운 지역도 있어서 설치비가 별도 발생할 수 있어요.
인터넷/TV: 광랜 설치가 어려운 지역도 있어서 설치비가 별도 발생할 수 있어요.
✅ 팁:
심야전기나 태양광 패널 설치로 장기적으로 비용을 줄일 수 있어요.
내가 사용한 비용
구축 아파트: 관리비 및 공과금 25만 원
+ 인터넷 등 기타 비용 5만 원×12개월 = 360만 원
임대주택: 월세 8만 원 + 관리비 및 공과금(LPG) 35만 원
+ 인터넷 등 3만 원×12개월 = 552만 원

③ 식비 & 외식비 – 마트는 멀고, 외식은 비쌈
동네 마트: 규모가 작고 물가가 높음 (항아리 상권)
대형 마트: 시내까지 10분 이상 운전 필요
장날 장보기: 가격은 저렴하지만 주 1회만 가능 (제가 사는 곳은 6일장)
외식비는 생각보다 비싸요.
국밥 한 그릇 9천~1만2천 원, 찜닭 4만 원대예요.
직접 요리를 하면 식비를 많이 절약할 수 있어요.
텃밭과 이웃의 도움도 큰 힘이 됩니다.
내가 사용한 비용(미용·문화·여가 포함)
뱅크샐러드 어플 기준 월 95만 원×12개월 = 약 1,140만 원
④ 교통비 – '차 없이는 못 살아'
대중교통의 배차 간격은 1시간 이상, 주말엔 운행이 없기도 해요.
차량 유지비는 필수로 들어갑니다.
가족이 많다면 차량 두 대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
내가 사용한 비용
운전면허 학원 및 검정료 = 약 130만 원
경차 중고 매입 및 세금·보험료 등 = 약 1,300만 원
월 유지비(주유비 포함) = 약 11만 원×12개월 = 132만 원
⑤ 교육비 – 선택지가 적고, 학원비는 높아요
시골의 학원은 선택의 폭이 좁고 가격이 높아요.
온라인 학습을 많이 활용하게 됩니다.
경쟁적인 도시보다 스트레스가 덜하고 자연 속에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장점입니다.
내가 사용한 비용
합기도+미술
+방과후 및 센터 이용(난타, 바이올린, 중국어, 컴퓨터 활용, 야나두, 월페드 등)
월 35만 원×12개월 = 420만 원
⑥ 문화비 – 줄긴 하지만 무료한 시간이 늘어요
영화관, 공연장, 쇼핑몰은 없지만
숲속 산책과 등산 등 자연과 함께하는 시간이 늘었어요.
인터넷 쇼핑과 영상 콘텐츠 소비가 늘어날 수 있어요.
내가 사용한 비용
박람회·축제 방문 등 월 6만 원×12개월 = 72만 원

⑦ 텃밭 운영비 – 직접 키워도 돈은 들어요
연 10만 원 내외로 소규모 운영 가능해요. 작은 텃밭을 추천합니다.
내가 사용한 비용
0원=임대한 귀촌인 주택에 텃밭으로
사용할 공간이 있었지만
농사를 짓지는 못함
이부분도 따로 후에 이야기해 볼께요!
이건 귀농시기를 결정하거나
농사를 짓지는 못함
이부분도 따로 후에 이야기해 볼께요!
이건 귀농시기를 결정하거나
준비할때 중요한 부분일거에요!

🌿 총 생활비 정리
귀촌 첫해 사용 비용: 약 4,500만 원
주택 매입 비용 포함 시: 약 2억 6,500만 원
기타 부대 비용: 500만 원
👉 월 평균 생활비는 약 350만~만 400원 정도였어요.
첫해여서 이사비용 및 평소에는 쓰지않는
부대비용이 있었어요!
첫해여서 이사비용 및 평소에는 쓰지않는
부대비용이 있었어요!
“시골은 싸다”는 말, 이제는 상황마다 다를 수 있어요.
돈으로 따질 수 없는 여유와 평화를 생각하면 가치 있는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귀촌 1년 후인
현재 달라진 수입과 지출의 변화를 다뤄볼게요.
오늘도 행복하세요! 🌸
유튜브 https://www.youtube.com/@귀촌은도시에서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anscountrylife
티스토리 https://anscountryllife.tistory.com
블로그스팟 https://anscountrylife.blogspot.com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anscountrylife
유튜브 https://www.youtube.com/@귀촌은도시에서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anscountrylife
티스토리 https://anscountryllife.tistory.com
블로그스팟 https://anscountrylife.blogspot.com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anscountrylife
#귀촌은도시에서 #귀촌#귀촌일기#귀촌브이로그 #귀촌체험 #귀촌지원 #귀농
#귀농교육 # 귀농의집 #경상도 #경상북도
#낙향#농가 #시골#시골생활#시골살이 #지방 #농업 #임업 #농촌
#시골생활비 #귀촌현실 #귀촌비용 #시골살이정보 #생활비총정리
#countrylifeinthecity #localtown #localexperience #localsupport #localeducation
#farmers #countrylife #local #agriculture #forestry #ruralland
#immigrationtoKorea #tripinKorea #RuralLife #RuralDiary
#RuralVlog #RuralSupport#FarmingEducation #FarmStay
#Gyeongsangdo #NorthGyeongsang #Farmhouse #Countryside
#CountryLiving #SlowLife #RuralArea #Farming #Forestry #RuralVillage
#WhyWeMoved #ReasonToRelocate #RealRuralLife
#EscapeTheCity #WhatSparkedOurMove #WhyWeChoseTheCountry
#PreppingForRuralLife #WhatMotivatedUs
#RuralLife #RuralDiary #RuralVlog #RuralSupport#FarmingEducation
#FarmStay #Gyeongsangdo #NorthGyeongsang #Farmhouse
#Countryside #CountryLiving #SlowLife #RuralArea #Farming
#Forestry #RuralVillage #WhyWeMoved #ReasonToRelocate
#RealRuralLife #EscapeTheCity #WhatSparkedOurMove
#WhyWeChoseTheCountry #PreppingForRuralLife #WhatMotivatedUs
728x90
반응형
'귀촌정보 > 귀촌...어디까지 준비해 보았나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촌 준비] 7단계 : 지역 선택 기준(4~7) (3) | 2025.04.15 |
---|---|
[귀촌 준비] 7단계 : 지역 선택 기준(1~3) (1) | 2025.04.14 |
[귀촌 준비] 7단계:영농 계획 수립 (0) | 2025.04.12 |
[귀촌 준비] 6단계:주택 및 농지 매입 (2) | 2025.04.11 |
[귀촌 준비] 5단계:정착지 물색하기 (14) | 2025.04.10 |